회사 동료로(택시짱)부터 라즈베리 파이를 받았다.
https://www.mouser.kr/new/raspberry-pi/raspberry-pi-3/
예전부터 내집에 로컬 서버를 만들고 싶어서 노래를 부르다가 남는 라즈베리 파이가 있다고 하셔서 냅다 받아서 세달쯤 뒤에 결국 오늘 구축을 했다.
했던 과정을 회고하면서 어떻게 했는지 적어보려 한다.
맥북을 기준으로 적는다.
[큰틀은]
- 라즈베리파이 sd카드에 os 심기
- 라즈베리의 세부사항 설정해주기(한글키 input 설정, ssh 열고 포트 변경 및 방화벽설정)
- 공유기 포트포워딩
- 외부에서 ssh로 라즈베리파이 접속하기
1. 라즈베리 파이 sd카드에 os 심기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
Raspberry Pi OS – Raspberry Pi
From industries large and small, to the kitchen table tinkerer, to the classroom coder, we make computing accessible and affordable for everybody.
www.raspberrypi.com
위 사이트에서 sd카드에 심을 os 설치를 위한 프로그램을 다운 받는다.
설치할 운영체제를 선택하고 저장소(sd)카드를 선택하고 쓰기를 누르면 끝!
하지만 이때 64비트 운영체제를 할건지 32비트를 할건지 결정해야하는데 라즈베리파이 4이후의 모델들중 8기가 이상 램을 가진 것들만 하는게 좋은거 같다.
내가 받은 것은 라즈베리파이 3모델로 1기가 램을 가진 녀석이라 궂이 64비트를 갈 필요도 없다고 생각했다.
또한 라즈베리파이os가 32비트에 안정화가 돼 있다하여 32비트를 선택!
(하지만 뭔가 아쉽다... ㅠㅠ)
sd카드를 라즈베리에 끼우고전원과 모니터를 연결하면 알아서 세팅들을 해준다.
다른 블로그글들을 보니 timezone, locale 같은걸 한국으로 하면 잘안된다고 하는 경향이 있던데 요즘 업그레이드가된건지 나는 이상 없이 잘 됐다.
문제발생 : 무한재부팅현상(무지개화면이 계속나옴)
os가 모두 설치 되고 재부팅해서 써보려하는데 계속 무한 재부팅 현상이 일어났다.
전력 부족이 발생 원인이었다. -> 케이블을 바꾸던지 충전기를 바꾸던지해야 한다.
https://raspberry-pi.narkive.kr/EWB72FW4/raspberry-pi
내 Raspberry Pi가 계속 재부팅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view on stackexchange narkive permalink 데비안을 실행하는 Raspberry Pi가 있습니다. 부팅 파티션의 boot.rc 파일은 ssh로 액세스 할 수 있도록 boot_enable_ssh.rc로 대체되었습니다. 그 후 작동하지 않았고 화면에
raspberry-pi.narkive.kr
2. 라즈베리의 세부사항 설정해 주기(한글키, ssh포트변경 및 방화벽설정)
1) 한글키
모든 설치가 끝나고 나면 GUI 화면이 나오는데 cli에 한글을 처보려하면 안나온다.
https://jasmine125.tistory.com/1016
라즈베리파이 한글 키보드 설정
1. 폰트 설치 $ sudo apt-get install fonts-unfonts-core 2. 한글 입력시 설치 $ sudo apt-get install ibus-hangul 3. IBus 설정 Menu --> Preferences --> IBus Preferences 실행 Input Method에서 Add 누..
jasmine125.tistory.com
위 링크대로 한글설정이 되게 한다.
한글키 또는 shift + space로 한글 변환이 될 것이다.
나는 101 korean key 인가? 이 세팅을 지웠다.
2) ssh 포트변경
이제 외부에서 해당 서버로 접속을 하려면 ssh 를 열어줘야 한다.
전제조건은 라즈베리파이가 네트워크 연결(utp or wifi) 돼 있어야 한다. 당연한거지만!
- [ssh 사용하는 옵션]
- 터미널에서 sudo raspi-config
- Interfacing Options 에서 ssh enable 시키기
[ssh 포트번호 변경 및 방화벽 설치]
- 아래 링크에서 ssh 서버 설치 및 포트 설정 만 따라 한다.
- https://ca.ramel.be/74
- 포트번호는 22를 꼭 피한다. 그외 10000자리 이상 숫자를 쓰는게 보안상 좋다고한다. 22번포트는 잘 알려져있기 때문에 공격이 많다고함.
- vi 수정시 되돌리기 참고
- vi 로 수정시 단축키 참고
3. 공유기 포트포워딩
외부에서 내 라즈베리 파이서버로 접속을 하려면 포트포워딩을 통해 내 사설 아이피 안에서 어떤 내부 아이피의 어떤 포트로 보내 줄건지 정해줘야 한다.
2번에서 열어줬던 ssh 포트번호로 외부에서 접속을 하기위한 마지막 과정이다.
이번에는 거의 어느집에나 다 있는 공유기의 포트포워딩을 설정해 보자.
https://m.blog.naver.com/seoulworkshop/221265052717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하기
지난번 포스팅에서 #OctoPrint 세팅 과정을 공유드렸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OctoPrint 가 설치된...
blog.naver.com
위링크에서 정말 자세하게 알려주기 때문에 이걸 보고 이해하면서 설정해보길 추천한다.
[간단하게]
1. 공유기설정의 내부네트워크 설정에 접속해 현재 공유기와 접속된 기기들의 목록을 파악, 라즈베리파이의 내부아이피 찾기
2. 포트 포워딩 설정에 1번과정에서 찾은
- 내부아이피를 등록,
- 외부에서 접속할 포트등록
위 그림에서 체크된 부분들만 적어주고 저장하면 새로운 규칙이 완성된다. (저장을 꼭해야 한다)
외부 포트 : 외부에서 내부 아이피로 접속하고자하는 규칙
내부 포트 : 외부에서 내부아이피로 접속했을 때 어떤 포트를 사용할지에 대한 규칙
4. 외부에서 ssh로 라즈베리파이 접속하기
이제 외부에서 라즈베리파이를 접속할 수 있게 됐다.
$~ ssh 라즈베리파이user@공유기사설아이피 -p 외부포트
이렇게 접속 할 수 있다.
회고
sd 카드 사서 os 설치하고 이것저것 설정하고 알아보는 과정이 재미있었지만 하드웨어에대한 욕심이 계속 생겨 나서 돈을 많이 쓸뻔했다.
하지만 잘 참고 있는거 만으로 모두 해결...
라즈베리파이 케이스를 안씌워놓고, utp 케이블 연결 안함, 전력을 충분히 공급할 케이블이 아님 이 마음에 남긴하지만 일단 담에 하나씩 업그레이드를 하던지 아니면 그냥 컴퓨터를 어디다 놓고 쓰던지 해야겠다.
처음으로 포트포워딩까지해서 외부 접속을 할 수 있는 컴을 만들었는데 뿌듯하고 재미있었다.
댓글